반복영역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Read right Lead right
금강을 읽다. '금강웹진'

문화산책

계절의 길잡이 24절기

Hit : 1263  2015.12.29

동지, 춘분, 추분, 하지 등등 달력을 보면 24개의 절기들이 쓰여 있습니다. 이것이 24절기중 하나의 절기를 의미하는 것은 알지만 각가 무슨 뜻인지는 알고 계신가요?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이 잘 모르실겁니다. 2016년을 맞이해서 알아보도록 합시다!





 계절의 길잡이 24절기


동지, 춘분, 추분, 하지 등등 달력을 보면 24개의 절기들이 쓰여 있습니다. 이것이 24절기중 하나의 절기를 의미하는 것은 알지만 각가 무슨 뜻인지는 알고 계신가요?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이 잘 모르실겁니다. 2016년을 맞이해서 알아보도록 합시다!


옛날부터 우리나라가 음력을 이용하여 날짜를 세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24절기도 음력일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음력을 쓰는 농경 사회의 필요성에 의해 절기가 만들어졌지만 이는 태양의 운동과 일치하기도 합니다. 실제로 달력을 보면 24절기는 양력으로 매월 4~8일 사이와 19~23일 사이에 생깁니다. 24절기의 이름은 중국 주나라때 화북 지방의 기상 상태에 맞춰 붙인 이름입니다. 천문학적으로는 태양의 환경이 0°인 날을 춘분으로 하여 15°이동했을 때를 청명 등으로 구분해 15°간격으로 24절기를 나눈 것이 24절기입니다. 따라서 90°인 날이 하지, 180°인 날이 추분, 270°인 날이 동지로 구분되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입춘에서 곡우 사이를 봄, 입하에서 대서 사이를 여름, 입추에서 상강 사이를 가을, 입동에서 대한 사이를 겨울이라 하여 4계절의 기본으로 삼고 있습니다.


이처럼 24절기의 배치는 봄, 여름, 가을, 겨울로 나누고 각 계절을 다시 6등분하여 양력 기준으로 한 달에 두 개의 절기를 배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태양의 움직임에 따른 일조량, 강수량, 기온 등을 보고 농사를 짓기 때문에 태양의 운행, 즉 지구가 태양의 둘레를 도는 길인 황도를 따라 15°씩 돌 때마다 황하 유역의 기상과 동식물의 변화 등을 나타내어 명칭을 붙여 농경 사회에 필요한 절기를 만들게 된 것입니다.


24절기 의미는 계절의 길잡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아래 표는 봄, 여름, 가을, 겨울로 나누고 각 계절을 다시 6등분한 24절기입니다.





그럼 24절기 의미, 뜻을 좀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24절기에 대한 궁금증이 조금 풀리셨나요? 앞으로 우리 달력을 볼 때 24절기의 의미를 마음속에 새겨두어 그 의미를 떠올려봅시다. 얼마전 마지막 큰 추위라고 불리는 대한이 지났네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을 에는 듯한 추위가 계속되는데요, 옷 따뜻하게 입으시고 감기 조심하세요!~ 




 

[금강웹진] 이승연 lsyeon0213@ggu.ac.kr








  • EVENT
  • FAQ
  • 취재요청
  • 홍보제안요청
  • 금강대학신문방송사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