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Read right Lead right
금강을 읽다. '금강웹진'

GGU탐방

나는 전 세계 대학 수업을 집에서 듣는다~

Hit : 1304  2019.01.01

종강과 함께 2018년이 가고, 벌써 2019년의 첫 달인 1월이다. 지난 한 해를 잘 마무리 하고, 새로운 계획과 함께 신년을 잘 맞이하고 있는가? 지난 학기 금강대학교 학우들은 원하는 수업들을 잘 수강하였는가? 학우들 중 원하는 수업을 신청하여 수강한 학우들도 있겠지만, 우리학교에 수업이 없어 원하는 수업을 듣지 못한 학우들도 있을 것이다. 이런 학우들을 위해 금강대학교 교수학습센터에서‘MOOC를 활용한 자기주도 학습전략’ 특강을 진행하였다. 이번 꾸탐방에서는‘MOOC’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나는 전 세계 대학 수업을 집에서 듣는다~





종강과 함께 2018년이 가고, 벌써 2019년의 첫 달인 1월이다. 지난 한 해를 잘 마무리 하고, 새로운 계획과 함께 신년을 잘 맞이하고 있는가? 지난 학기 금강대학교 학우들은 원하는 수업들을 잘 수강하였는가? 학우 중 원하는 수업을 신청하여 수강한 학우들도 있겠지만, 우리 학교에 수업이 없어 원하는 수업을 듣지 못한 학우들도 있을 것이다. 이런 학우들을 위해 금강대학교 교수학습센터에서 ‘MOOC를 활용한 자기 주도 학습전략’ 특강을 진행하였다. 이번 꾸탐방에서는 ‘MOOC’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지난 12월 10일 교수학습센터에서 실시한 ‘MOOC를 활용한 자기 주도 학습전략 특강’이 우리 학교 PC실습실 2에서 진행되었다. 특강은 한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박성희 교수님께서 진행해주셨다. MOOC를 설명하기에 앞서 학생들은 간단한 자기 주도학습 준비도 검사를 통해 학생들 개인의 자기 주도학습 성향을 파악했다. 자신의 성향과 준비도에 대한 검사 후에야 제대로 자기 주도학습과정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후, ARCS 학습 동기전략을 통하여 A(attention), R(relation), C(confidence), S(Satisfaction)의 4가지 전략에 따라 자신이 흥미 있는 것과 하고 싶은 것 생각해보기, 전체적인 그림 그려보기, 만족할 기준 설정하기를 했다. 이러한 개개인의 준비를 끝낸 후에야 MOOC에 대해 배워보았다.




 MOOC란 ‘온라인 공개 수업(Massive Open Online Course)’의 약자다. MOOC의 사전상 의미는 ‘대규모 사용자를 대상으로 제공하는 온라인 공개 수업’이다. 일반적으로 대학 수업을 온라인으로 접속해 들으면서, 동시에 무료로 들을 수 있는 강의를 MOOC라고 표현한다. 광범위하게는 테드(TED) 같은 일회성 강의도 MOOC에 포함되고, 유료 강의도 역시 MOOC로 보기도 한다. MOOC는 2012년부터 본격적인 관심을 받았으며, 최근에는 MOOC 플랫폼 수도 점점 늘어나면서 그 영향력이 확장되어 해외 명문대학의 강의도 온라인으로 무료 혹은 저렴한 비용으로 들을 수 있다. 최근엔 전 세계 대학과 제휴를 맺고 있으며, 한국 대학도 일부 동참하고 있다. MOOC는 MOOC의 1세대 기업이라고 할 수 있는 유다시티, 코세라, 에덱스의 성공으로 2012년부터 주목받기 시작했다. 1세대 MOOC 기업들은 하버드, MIT, 스탠포드대학 등 미국의 명문대학에서 진행된 강의를 녹화하여 온라인으로 제공했다. 이후 높아진 MOOC의 인기로 2세대 MOOC 서비스가 등장하여 구글, 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 같은 기업도 직접 MOOC 강의를 제작하기 시작했다. 과거 MOOC가 대부분 컴퓨터과학이나 공학 과목에 집중되어 있었다면, 최근에는 외국어, 문화, 창업, 경영 등 다양한 주제를 MOOC에서 다루고 있다. 또한, 이론 위주의 대학 강의를 벗어나 실습을 배울 수 있는 MOOC도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MOOC는 한 달 수강료를 내면 등록된 모든 수업을 들을 수도 있다. 또한 마치 대학 강의를 수강하듯 과제 제출, 조교와의 화상 상담, 온라인으로 학생들과 토론하는 기능까지 제공하고 있다. MOOC (온라인 공개 수업) 는 일반적으로 학점을 인정하지 않지만, 약 30~500달러의 비용을 더 내면 수료증은 받을 수 있다. 수료증을 받기 위해서는 수업을 끝까지 듣는 것은 물론, 시험에도 응시해야 하므로 기존 MOOC보다 더 동기 부여받을 수 있다. 시간, 공간의 한계를 초월하고, 강좌 수강 시 학위나 자격이 필요하지 않은 MOOC의 목표는 고급 과목을 배울 기회를 전 세계에 확장하는 것이다. MOOC를 배운 이후 자신의 성향을 알고 자신이 배우고 싶은 강의를 직접 신청하여 수강해보는 시간을 가지며 특강을 마무리했다. 금강대학교 학우 여러분도 학교에서 듣고 싶은 강의가 열리지 않거나, 다양한 분야를 배우고 싶다면 온라인(http://www.kmooc.kr/)에서 MOOC를 잘 활용하여 자신의 관심과 진로에 맞추어 취사 선택적으로 강의를 선택하고 학습해 보기를 바란다.


[금강웹진] 홍지혜 hjh@ggu.ac.kr





  • EVENT
  • FAQ
  • 취재요청
  • 홍보제안요청
  • 금강대학신문방송사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