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Read right Lead right
금강을 읽다. '금강웹진'

특별기고

아이들이 위험해

Hit : 1278  2018.07.01

오늘날, 무더위보다 더 심해지고 있는 것이 있다. 그것은 바로 영유아와 어린이의 출입을 금지하는 업소가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업소를 우리는 신조어로 ‘No Kids Zone, 노키즈 존’이라 부른다. 현재 ‘노키즈 존’의 업소가 늘고 있는 추세인 만큼 이에 따른 논란도 커지고 있는 상태이다.


아이
위험해



김지민 ( 미국통상학, 17)


오늘날, 무더위보다 더 심해지고 있는 것이 있다. 그것은 바로 영유아와 어린이의 출입을 금지하는 업소가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업소를 우리는 신조어로 ‘No Kids Zone, 노키즈 존’이라 부른다. 현재 ‘노키즈 존’의 업소가 늘고 있는 추세인 만큼 이에 따른 논란도 커지고 있는 상태이다. 우리 현대 사회에서는 도대체 왜 ‘노키즈 존’이라는 신조어와 함께 아이들의 출입을 거부하는 가게들이 늘어나는 것일까?


어느 보도에 따르면, 많은 식당 주인들은 어린 손님들로 인해 피해를 본 경우가 많다고 했다. 보호가 필요한 어린 아이들의통제가 전혀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다른 손님에게 피해가 끼치는 경우, 어린 아이의 실수로 다른 손님이 다치는 경우, 그리고 어린 아이가 가게 물건에 다쳐 주인이 이를 책임져야 하는 경우 등 많은 사고들의 책임은 모두 그 장소의 가게 주인이 책임을 져야했다. 이런 원인으로 ‘노키즈 존’은 점점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인간에게는 자유가 주어진다. 영유아와 어린이 역시 모두 자유권을 가진다. 하지만 이처럼 ‘노키즈 존’과 같이 사회에서 아이들을 거부하게 된다면 많은 문제들을 낳을 수 있다. 성인은 아이들이 사회에서 잘 성장할 수 있도록 이끌어 주어야 할 의무가 있다고 생각한다. 아이들을 차별하고 고립하는 사회 속에서는 우리 모두가 살아갈 수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행복한 사회를 불행으로 이끄는 ‘노키즈 존’은 옳지 않다. 나는 ‘노키즈 존’ 가게 주인들을 이해 못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는 아이를 가진 부모들의 권리를 침해할 뿐만 아니라 아이들의 인권침해로도 적용된다.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들은 아주 많다. 가장 근본 원인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아직 보호가 필요한 아이들을 책임지는 부모들의 교육이다. 부모들의 올바른 교육을 통해 아이들이 사회 구성원으로서 잘 성장할 수 있도록 이끌어 줘야한다. 부모뿐만 아니라 우리 모두가 이를 위해 노력해야한다. 가게 주인들은 더 행복한 사회를 위해 아이를 동반한 부모를 위한 시설을 재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출입금지가 아닌 다른 방식으로 충분히 포용이 가능하다. 누구에게나 어린 시절이 있듯이, 따뜻한 마음으로 아이들이 올바른 사회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모두가 함께 노력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 EVENT
  • FAQ
  • 취재요청
  • 홍보제안요청
  • 금강대학신문방송사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