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Read right Lead right
금강을 읽다. '금강웹진'

특별기고

일본의 유네스코 등재, 등재 목적을 확실히 해야 한다.

Hit : 1444  2015.11.28


지난 달 22일 정부는 일본의 강제징용 시설의 유네스코 등재와 관련, 강제노동 시설이 포함된 7개 시설은 등재에서 제외해달라는 입장과 함께 일본과 1차 협의를 열었지만 일본 측의 강경한 입장으로 협상은 결렬되었다. 정부 역시 해당 시설에서의 역사적 사실을 밝혀야 한다며 확고한 입장을 유지했다. 그러나 ICOSMOS가 시설들에 대한 권고를 함에 따라 사실상 등재 자체를 막을 수는 없다는 언론의 기사가 나오기 시작했다. ICOSMOS가 권고한 후 철회된 문화재는 거의 없다는 게 언론의 해석이다. 그러나 등재 자체를 막을 수 없더라도 일본은 시설들 중 일부의 등재 목적을 확실히 해야 한다.

 


일본의 유네스코 등재, 등재 목적을 확실히 해야 한다.

 

                                                                                                                                             갈지승(사회복지학과, 15)


지난 달 22일 정부는 일본의 강제징용 시설의 유네스코 등재와 관련, 강제노동 시설이 포함된 7개 시설은 등재에서 제외해달라는 입장과 함께 일본과 1차 협의를 열었지만 일본 측의 강경한 입장으로 협상은 결렬되었다. 정부 역시 해당 시설에서의 역사적 사실을 밝혀야 한다며 확고한 입장을 유지했다. 그러나 ICOSMOS가 시설들에 대한 권고를 함에 따라 사실상 등재 자체를 막을 수는 없다는 언론의 기사가 나오기 시작했다. ICOSMOS가 권고한 후 철회된 문화재는 거의 없다는 게 언론의 해석이다. 그러나 등재 자체를 막을 수 없더라도 일본은 시설들 중 일부의 등재 목적을 확실히 해야 한다.


2014년 1월 일본은 근대문화유산으로 일본 남부 규슈에 건설된 탄광, 항만, 제철소 등 23곳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올리려고 추진해 왔다. 그러나 문제는 시설 등재 신청한 23곳 중 7개 시설에서 1930년 ~ 40년대에 조선인 5만 8천여 명이 강제 징용되었다는 것이다. 정부는 이 사실을 바탕으로 일본에 강력한 주장을 하며 유네스코 측에 또한 주장하였지만 ICOSMOS가 권고한 문화유산들은 대부분 등재되었다는 것이 언론의 설명이다. 여기서 짚고 넘어가야 할 문제가 있다. 최근 위안부 문제나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보면, 일본은 역사적 피해 사실들을 묵인하고 오히려 당당한 입장을 내세우고 있지 않은가. 이런 상황이 계속 된다면 결국 조선인들의 피해 사실은 역사 너머로 사라지게 될 것이다. 만약 일본이 등재목적을 확실히 하지 않은 채 시설들이 그대로 등재되게 된다면, 국제적으로 이 시설들의 정당성이 인정되고 일본의 과거 잘못들은 묻히게 되는 것이다. 여기 이와 반대되는 행보를 보였던 국가가 있다. 바로 독일이다. 1972년 독일의 아우슈비츠 강제수용소는 유네스코의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됐다. 유네스코 측은 당시 “아우슈비츠 수용소가 나치에 의한 유대인 인종학살의 현장이자 인류에 행한 극악한 범죄라는 점을 밝히는 명백한 증거” 라 설명하며 등재 목적을 밝혔다. 독일은 과거 나치가 저질렀던 일들을 범죄라 인정하며 아우슈비츠가 지니고 있는 역사적 의미를 올바르게 하고 역사적 인식을 바로 하였다. 일본 또한 이와 같은 행보를 보여야 할 것이다. 7개 산업 시설에 대해 역사적 인식을 올바르게 하고 피해 사실들을 알리며 아우슈비츠와 같이 세계문화유산 등재 목적을 확실히 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의 적절한 대응과 함께 유네스코 측에 더욱 강경한 입장을 취하여야 할 것이다.


일본 측은 산업시설들의 등재를 추진하면서 기간을 1850년부터 1910년까지로 국한하는 조건을 달았다. 이는 1940년대에 주로 이뤄진 조선인에 대한 강제징용과 착취의 어두운 역사를 덮기 위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미 지금까지 겪지 않았던가. 위안부 문제나 야스쿠니 참배 , 거기다 더하여 독도 문제까지 말이다. 이번에도 일본의 역사적 합리화를 막지 못한다면 일본은 이후로도 자신들이 행했던 반인류적 행위를 합리화 해 갈 것이며, 우리는 바라보고만 있어야 할 것이다. 이번에 서울에서 열리는 2차 협상이 그것을 막는 시작이 되어야 한다. 일본이 산업시설에 대해 역사적 피해 사실들을 인정하고 사과의 관점에서 문화유산 등재 목적을 올바르게 하게 해야 한다.





  • EVENT
  • FAQ
  • 취재요청
  • 홍보제안요청
  • 금강대학신문방송사

위로 이동